본문 바로가기

Precious Memories/Travel Essay

끊임없는 창작의 모티브를 제공하는 그 곳

728x90

 

몽 생 미셸의 외관을 한번이라도 본 사람은 그 경이로움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눈에 담은 순간 꼭 가봐야 할 여행지로 기억 속에 고이 간직하게 된다. 나 역시도 한 아주 오래 전 TV 프로그램에서 이 곳을 보게 되었지만, 처음부터 보지 않아 이 곳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가 없었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이전이었으니...) 여기가 어디에 있는지, 이름은 무엇인지도 모르고 무작정 기대를 품고 있었는데 한참이 지나고 난 지금에서야 우연한 기회를 통해 이 곳으로 향할 수 있었다. 

'아는 만큼 보고 오는 것이 여행이다'라는 지론을 가지고 여행을 가기 전에는 최대한 다양하고 많은 책들과 자료를 접하려고 한다. 단순한 여행 안내책자 뿐만 아니라 여행 관련 에세이까지 샅샅히 살펴보면 왠지 모를 쾌감을 느끼면서 이곳 저곳을 다닐 수 있다. 또한 내가 가지는 느낌과 다른 사람들의 느낌까지도 비교해 볼 수 있으니... 하지만 이번엔 그럴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 떠나는 순간까지 고민을 했어야 했기에... 이것도 그렇지만 몽 생 미셸에 대한 이야기는 내가 선망하고 바랐던 기대에 비하면 구할 수 있는 자료가 터무니없이 적었다. 그리고 널려있는 자료들도 거의 대부분이 천편일률적인 내용들 밖에 없었다.
그래서 별로 담아갈 것이 없었는데... 때론 뭐 이렇게 아무것도 담아가지 않아도 현지에서 색다른것들을 가지고 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아는 만큼 본다'라는 지론은 달라진게 없지만 말이다.

 

그 부족함을 채우고자 다녀와서 이곳저곳 헤매다 보니 이렇게 새로운 것도 알게된다. 예전 많은 철학자들은 자연 속에서 삶에 대한 통찰을 얻고 자신의 이론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계기를 가졌고, 현대까지도 이름을 날리는 유명한 미술가, 음악가들도 여행을 통해 창작의 모티브를 제공받았다. 이러한 위대한 이론들과 예술작품들의 한켠에서 몽 생 미셸을 만나게 된다.

세계적인 문호 빅토르 위고는 몽 생 미셸을 보며 많은 말들을 남긴다.
한 때 바다 위의 쓰레기라고도 지칭했다는 이 곳이 그래도 너무나 맘 속에 남았던 모양이다. 그는 [유럽방랑]이라는 저작을 통해 그 곳의 아름다움을 극찬하고 있다. 또한 우리에게는 작가로 널리 알려진 그가 그림으로 이곳을 표현하기도 한다. 정말이지 멋진 풍경, 아름다운 광경을 보면 표현하고 싶어지는 것이 숨길 수 없는 예술가의 본능인가 보다.

 

빅토르 위고의 유럽 방랑

 

모파상은 이 곳을 '화강암의 보석'이라 극찬하며 과 뗄 수 없는 연관성을 가진다.
모파상을 이곳을 보면서 시와 산문으로 이 곳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바다 한 가운데 위용을 자랑하는 요정의 성이여
안개 자욱한 하늘을 배경으로 우뚝 솟아 있는 회색 그림자여!
황혼 빛을 받아 드넓은 모래밭도 붉게 변했고,
끝없이 펼쳐진 물굽이도 온통 붉게 변했네.

환상 속의 성처럼 뭍으로부터 멀리 떠밀려 간 꿈의 궁전처럼
보는 사람을 황홀경에 빠지게 하는
믿을 수 없을만큼 기이하고 아름답고
깍아지른 듯한 수도원만이
사그라지는 태양의 홍조 속에서도 여전히 검은 빛을 띠고 있네(모파상 作)

("blog.daum.net/parisjumac"에서 발췌)

 

꼭 할아버지가 해주시는 옛날 이야기의 느낌이다.

"옛날 옛날에~~~" ㅎㅎ


옛날 옛적 대천사 미카엘이 이 돌산에 수도원을 지으려 내려왔을 때, 이미 한 악마가 그 밑에 살고 있었다.
그 아래 평원에서 농사를 짓던 악마는 날이 갈수록 부유해졌지만,
대천사는 아무것도 나지 않는 돌산에서 거지같이 지내며 그 꼴을 지켜봐야 했다.
미카엘은 마침내 꾀를 내어 악마를 찾아갔다.
"내가 네 대신 농사를 지어 줄테니, 땅 속의 것은 내 몫으로 하고 너는 땅 위의 것을 가져라."
악마는 농사를 대신 지어주겠다는 말에 흔쾌히 승낙했다. 기껏해야 보리나 밀을 심을 것이라고 생각했나보다.
그런데 미카엘은 당근, 무, 순무따위만 잔뜩 심어버린 것이었다. 악마의 몫은 무청 시래기뿐이었다.
악마는 화가 났지만 대천사는 다시 악마를 달래어 다음 해 농사를 또 대신 지어주기로 했다.
이번에는 땅 속의 것은 악마가, 땅 위의 것은 미카엘이 가진다는 조건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작년과 반대로 보리며 밀만 심어버려 또 악마를 엿먹였다.
두 번이나 속은 악마는 다시는 미카엘을 상대하려 하지 않고 스스로 농사를 지었다.

그동안 큰 이익을 보아 뱃속도 곳간도 든든해진 대천사는 악마를 쫓아내기로 결심했다.
그는 화해의 뜻을 보이며 악마를 초대해 온갖 산해진미며 맛있는 술을 푸짐하게 내왔다.
아무것도 모르고 대천사가 권하는 대로 포식한 악마는 엄청나게 배가 부르고 술이 취해
마침내 몸을 가누기도 어렵게 되었다. 그러자 미카엘의 태도가 돌변했다.
그는 상을 뒤엎고 소리를 지르며 무서운 얼굴로 악마에게 불타는 검을 들고 달려들었다.
봉변을 당해 깜짝 놀란 악마는 대천사를 피해 도망쳤다.
그러나 배가 너무 불러 숨은 터질듯이 차오르고, 술기운도 거나한지라 자꾸만 다리가 꼬였다.
성벽 위에서 가엾은 악마의 뒷덜미를 잡은 미카엘은 그를 그대로 걷어찼다.
아래로 떨어진 악마는 죽지는 않았지만 절름발이가 되어버렸다.

결국 악마는 진절머리나는 이웃을 피해 멀리 멀리 어딘가로 떠나버리고
몽 생 미셸은 대천사 미카엘의 땅이 되었다...
(vergil.egloos.com에서 발췌)


이것 또한 원작이 모파상이다.

 

좀 더 가까운 현대로 오게 되면 우리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반지의 제왕'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것이다.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성의 모티브가 몽 생 미셸이었으며 그 곳에서 표현한 중세 골목길이 대부분 이곳을 모델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하긴 이 곳의 골목들은 중세가 줄 수 있는 느낌은 모두다 전해주는 것 같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전달 된 중세에 대한 기본 자료가 얼마나 현실성을 반영하는지 알 수 없으나 그러한 고증이 그래도 중세시대를 최대한 반영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그 느낌을 훤히 전해준다.

 

  스틸이미지

[반지의 제왕에 나온 성]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언급하자면 프레데릭 르누아르가 쓴 [이중설계]이다. 아직 읽어보지 못한 소설이지만 이 소설의 내용도 몽 생 미셸 수도원을 짓게되면서 생기는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내용이야 읽어보지 않아 어떻다 얘기할 수 없지만 이런 장편의 이야기를 엮어낼 만큼 많은 것들이 담겨있음에 혀를 내두르게 된다.

 

이중설계 1  이중설계 2

 

나 같은 사람이야 '이야~ 멋있네!' 한 마디로 끝날지 모르겠지만
빅토르 위고, 모파상의 뒤를 잇는 위대한 창작가들은
몽 생 미셸을 통해 받은 영감을 아름답게 다듬어 놀랄만한 창작물로 배출해 낼 수 있겠지.

 

이런 것을 보면 몽 생 미셸은 이미 오래 전에 완공되었지만
언제까지나 미완의 상태에서
많은 사람들의 손길로, 입김으로 완성의 고지를 향해 가게 되리라 본다.

반응형

인스타그램 구독 facebook구독 트위터 구독 email보내기 브런치 구독

colorful png from pngtree.com/

DNS server, DNS service